시간강사 강의료, 전임강사의 25% 그쳐
2006.10.20 20:33
시간강사 강의료, 전임의 25% 그쳐
강의평가 점수는 비슷한데…
이수범 기자
대학 시간강사들의 강의평가 점수는 전임교원들과 비슷한데도 강의료는 전임교원 가운데 가장 직급이 낮은 전임강사의 4분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의 이주호 한나라당 의원이 전국 4년제 대학들의 시간강사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해 20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조사에 응답한 155개교의 시간강사들과 전임교원들은 강의평가(학생들의 강의 만족도)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교양 과목은 시간강사가 조금 앞서고 교직 과목은 전임교원이 약간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전공 과목은 엇비슷한 등 대체로 대등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대학들의 전임교원 인건비는 시간강사의 7.1배(42개 국공립대)~5.1배(113개 사립대)에 이르렀다. 시간강사들이 강의를 맡는 비중이 38.3%(국공립대)~36.3%(사립대)인데도 인건비에서 이런 차이를 보인 것은, 시간강사의 강의료가 너무 적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시간강사들의 시간당 평균 강의료는 국공립대가 3만9960원이었고, 사립대는 3만605원이었다.
이를 토대로 시간강사의 연간 강의료를 추산한 결과, 평균적인 시간강사(국공립대 5시간, 사립대 4시간, 전문대 2시간 등 11시간 강의)가 받는 강의료는 한달 90만원, 연 1080만원으로, 전임교원 가운데 가장 직급이 낮은 전임강사의 4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이수범 기자 kjlsb@hani.co.kr
강의평가 점수는 비슷한데…
이수범 기자
대학 시간강사들의 강의평가 점수는 전임교원들과 비슷한데도 강의료는 전임교원 가운데 가장 직급이 낮은 전임강사의 4분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의 이주호 한나라당 의원이 전국 4년제 대학들의 시간강사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해 20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조사에 응답한 155개교의 시간강사들과 전임교원들은 강의평가(학생들의 강의 만족도)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교양 과목은 시간강사가 조금 앞서고 교직 과목은 전임교원이 약간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전공 과목은 엇비슷한 등 대체로 대등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대학들의 전임교원 인건비는 시간강사의 7.1배(42개 국공립대)~5.1배(113개 사립대)에 이르렀다. 시간강사들이 강의를 맡는 비중이 38.3%(국공립대)~36.3%(사립대)인데도 인건비에서 이런 차이를 보인 것은, 시간강사의 강의료가 너무 적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시간강사들의 시간당 평균 강의료는 국공립대가 3만9960원이었고, 사립대는 3만605원이었다.
이를 토대로 시간강사의 연간 강의료를 추산한 결과, 평균적인 시간강사(국공립대 5시간, 사립대 4시간, 전문대 2시간 등 11시간 강의)가 받는 강의료는 한달 90만원, 연 1080만원으로, 전임교원 가운데 가장 직급이 낮은 전임강사의 4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이수범 기자 kjlsb@hani.co.kr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66 | <로컬 푸드> : 허 남혁등 번역(한겨레신문) | 권현주 | 2006.10.27 | 2316 |
165 | 고등교육법 개정법률안에 대한 대학의견 수렴 결과 요약 | 홍길동 | 2006.10.23 | 2426 |
164 | 3인 가구 최저생계비에 못 미쳐/내일신문 | 장세풍기자 | 2006.10.23 | 3545 |
» | 시간강사 강의료, 전임강사의 25% 그쳐 | 이수범 기자 | 2006.10.20 | 2144 |
162 | 교수7개단체 연대 | 한교조 | 2006.10.17 | 2398 |
161 | 조합원동지 여러분께 | 한교조 | 2006.10.17 | 2465 |
160 | 콩나물교실에 무슨 경쟁력이 있을까? | 한국일보 | 2006.10.02 | 2037 |
159 | 1인시위 동참을 요청합니다. | 경북대분회(펌) | 2006.10.01 | 2258 |
158 | 대학강사문제 놔두고 대학개혁 없다 | 교수신문 | 2006.10.01 | 2094 |
157 | 만장일치의 인문학 위기보다 기존질서에 맞선 항명쪽으로 | 교수신문 | 2006.10.01 | 2062 |
156 | 강사문제 외면하는 인문학 위기 위선이다. | 교수신문 | 2006.10.01 | 1988 |
155 | “전태일 열사도 울고 갈 시간강사 처우” | 매일노동뉴스 | 2006.09.07 | 2467 |
154 | 법률안 상정 의결 요구“비정규직 교수의 교원 지위 인정해야” /교수신문 | 박수진기자 | 2006.09.05 | 2101 |
153 | “시간강사, 70년대 노동자보다 나을 것 없다” | 김선주기자 | 2006.09.05 | 2324 |
152 | 시간강사, 교원지위 확보 법개정 나섰다 | 프로메테우스 | 2006.08.30 | 2165 |
151 | 대학개혁 및 교원법적지위 쟁취 특별위원회 출범 | 한교조 | 2006.08.24 | 2207 |
150 | 이상향을 찾아서 [문화일보 2006-02-25 ] | 권현주 | 2006.07.13 | 2304 |
149 | [교원법적지위 쟁취 특위] 구성제안 | 한비조에서 | 2006.06.26 | 2120 |
148 | 청량산 | 이한방 | 2006.06.20 | 2344 |
147 | 6월 22일 청량산 외래교수 산행 案 | 이한방 | 2006.06.17 | 2379 |